건강앱의 영양 정보는 직접 입력하실려면 힘듭니다.
건강앱에 영양 정보를 전달해주는 프로그램은 칼로리 계산해 주는 프로그램에서 가능하며,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앱은 MyFitnessPal 입니다.
MyFinessPal 프로그램은 아침, 점심, 저녁, 간식을 먹은 음식 및 양, 칼로리등을 기록할 수 있는데, 먹은 음식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을 직접 기록할 수 있고, 음식명을 검색하여 기록할 수 있습니다.
영향 정보를 건강앱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각 음식의 영양정보를 알아야 한데, 공산품의 경우 각 제품의 포장지에 영양 정보가 표시 되어 있으며, 식당에서 먹은 음식 등은 인터넷에서 영양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입력하는 방법은 마트에서 판매하는 식품은 MaFinessPal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식품명 검색이나, 식품의 바코드로 검색하시면 음식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바코드 검색 기능은 앱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만약 식품명이나, 바코드로 검색해도 없다면 사용자가 최초 등록자가 되므로 직접 새로운 음식으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이때 영양 정보는 포장지를 참고하시면 되고, 식당에서 먹은 음식은 인터넷에서 검색후 직접 등록을 하셔야 하고, 영양 정보없이 단순히 칼로리만 등록하실수 있습니다. 등록을 하면 서버에 등록되므로 전 세계 사용자와 공유되어 다음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건강앱과 MyFitnessPal 앱과 연동을 해야 영양 정보를 가져 올수 있습니다.
먼저 MyFitnessPal 앱에서 연동 설정을 하면 건강앱 소스 에서 등록확인이 가능하고 각 항목별로 활성화 비활성화 선택하시면 됩니다.
건강앱에 영양 정보를 전달해주는 프로그램은 칼로리 계산해 주는 프로그램에서 가능하며,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앱은 MyFitnessPal 입니다.
MyFinessPal 프로그램은 아침, 점심, 저녁, 간식을 먹은 음식 및 양, 칼로리등을 기록할 수 있는데, 먹은 음식의 칼로리 및 영양성분을 직접 기록할 수 있고, 음식명을 검색하여 기록할 수 있습니다.
<MyFitnessPal 사용법 참고>
입력하는 방법은 마트에서 판매하는 식품은 MaFinessPal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식품명 검색이나, 식품의 바코드로 검색하시면 음식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바코드 검색 기능은 앱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만약 식품명이나, 바코드로 검색해도 없다면 사용자가 최초 등록자가 되므로 직접 새로운 음식으로 등록하시면 됩니다. 이때 영양 정보는 포장지를 참고하시면 되고, 식당에서 먹은 음식은 인터넷에서 검색후 직접 등록을 하셔야 하고, 영양 정보없이 단순히 칼로리만 등록하실수 있습니다. 등록을 하면 서버에 등록되므로 전 세계 사용자와 공유되어 다음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MyFitnessPal 음식 등록 및 영양 정보 입력하기>
그리고 건강앱과 MyFitnessPal 앱과 연동을 해야 영양 정보를 가져 올수 있습니다.
먼저 MyFitnessPal 앱에서 연동 설정을 하면 건강앱 소스 에서 등록확인이 가능하고 각 항목별로 활성화 비활성화 선택하시면 됩니다.
<MyFitness 앱과 연동하기 참고>
그리고 건강앱 대시보드 다양한 영양정보 및 식사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대시보드의 영양정보> |
![]() |
<MyFitnessPal 영양정보> |
댓글
댓글 쓰기